투자 이야기/주식투자 이야기

1860년 미국 남북전쟁과 침체 그리고 버블

개똥 철학자 2022. 12. 9. 09:23
반응형

 

 

1857년 미국은 철도 버블로 일어난 글로벌 경제위기와 노예제를 둘러싼 분쟁으로 위기에 빠졌다.

https://hedonia.tistory.com/37

 

1857년 최초의 글로벌 금융 위기

1857년 6월 경기침체 1830년대 미국 증시는 투기의 광풍이었다. 마진론이 처음 도입되면서 광기가 붙으면 더 무섭게 증시가 올랐고, 떨어지기 시작하면 마진콜로 가파르게 떨어졌다. 주가에 10%만

hedonia.tistory.com

철도 버블은 위 내용을 참고.

 

1861년 남북전쟁이 벌어지는데 그 배경을 알기 위해서 노예제 갈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출처 https://www.sutori.com/en/story/the-missouri-compromise--ziJcCNFHMtpzVbnN4Sm4XvWp

1818년 당시 미국은 노예주와 자유주로 나뉘어 있었고 이들의 균형이 중요했다. 미주리 준주가 주로 승격할 수 있는 기준을 충족하자 연방정부 신청서를 냈는데 노예주(미국의 주는 노예주와 자유주로 나뉘어 있었다.)로 신청하였다.

 

헨리 클레이 상원의원

당시 11:11이었던 노예주와 자유주의 균형이 무너질 위험에 처하자 북부의 자유주에서는 거세게 반발했다.

 

이때 헨리 클레이 상원의원이 미주리 타협안을 내놓았는데 메사추세츠주를 자유 주로 승격시키고 미주리를 노예 주로 승격하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후 승격될 주는 위도 36도를 기준으로 남쪽은 노예주로 북쪽은 자유주로 두기로 한다. 이를 미주리 타협이라 한다.

 

이는 남북전쟁을 50년 가까이 미뤘다는 평을 받는다. 하지만 미국 멕시코 전쟁이 일어나고 새롭게 얻은 땅들은 이 법에 해당되지 않는 영토였다.

 

캘리포니아는 남쪽에 있었지만 자유주로 승격되길 원했다. 갈등이 지속되자 헨리 클레이는 다시 미주리 대타협을 제안한다.

 

kbs 드라마 추노

 

내용은 캘리포니아는 자유주로 편입하고 유타와 뉴멕시코주는 주민투표로 결정하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이 타협의 문제는 도망친 노예를 단속하는 법의 강화였다. 이 법이 더욱 강화되자 도망 노예 사냥꾼들이 자유주에서도 날뛰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노예제도가 불법인 자유주에 추노꾼들이 들어와 행패를 부려도 법적으로 제재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었다. 이에 자유주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했다.

 

스티븐 더글라스와 링컨

 

캔자스시티가 자유주로 편입될 상황이 오자 링컨의 라이벌 정치인이었던 스티븐 더글라스는 캔자스와 네브라스카의 자유주/노예주 결정을 투표로 결정하자는 캔자스-네브레스카 법을 통과시킨다.

 

가뜩이나 도망 노예 사냥꾼들 때문에 화가 났던 북부 자유주의자들이 캔자스에 몰려들었고, 캔자스를 노예주로 만들려고 이주한 남쪽의 농장주들도 몰려들었다.

 

로렌스 마을 방화

 

1856년 자유주를 지지했던 로렌스 마을에 노예제 지지자들이 몰려들어 총격을 가하고 주지사의 집을 불태우는 사건이 일어났다.

 

섬너의원 구타를 그린 J.L. 매기의 삽화

 

그 외에 노예지지 의원들로부터 섬너 의원 구타사건이 벌어졌고, 미주리 협정일 뒤집는 드레드 스콧판결(미국내 흑인은 노예는 될 수 있지만 미국 시민은 될 수 없다는 법)이 연방 대법원에서 내려지면서 갈등은 극에 달했다.

 

링컨 대통령 취임식

그리고 1860년 링컨 대통령이 당선되고 1861년 남북전쟁은 시작된다남측과 북측 모두 재정에 어려움을 겪었다개전 초기에는 주가가 하락했다. 하지만 곧 무서운 상승세로 주식이 오르기 시작했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버블은 다음 침체 편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남측과 북측 모두 재정적 어려움에 시달렸는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했다.

 

북부군이 만든 자체 화폐 그린백

 

북측은 소득세를 신설해 증세를 펼쳤고 국채 판매를 통해 돈을 끌어왔다. 그리고 자체 화폐인 그린백을 발급했다. 이는 유동성을 보급하고 인플레이션에 일조했다.

 

남측도 마찬가지로 자금을 조달하려고 했다. 하지만 소득세는 농장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채권판매도 하긴 했지만 자금을 모두 충당하기는 부족했다. 북측과 마찬가지로 자체화폐를 발급했는데 북측도 인플레이션이 심했지만 남측의 인플레이션은 상상을 초월했다.

 

이때부터 투기꾼들이 미국 주식시장과 금시장에서 날뛰었다. 그린백 발급으로 1억 5000만달러 이상의 화폐가 발급되자 주가는 폭등했다. 북부군의 승리소식은 주식시장과 금값을 올렸고, 남부군의 승리 소식은 그린백의 발행이 줄어들까 걱정되어 주식시장과 금값이 폭락했다. 투기꾼들은 금값이 오를 땐 남부군을, 금값이 떨어질 땐 북부군을 응원하며 투기를 조장했다.

 

북부의 채권왕 제이쿡

 

전쟁 중 많은 미국인들이 고통속에서 싸우고 있는데 투기를 조장하는 금융세력들에게 환멸을 느낀 링컨은 금 선물시장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정부가 금값을 컨트롤 하지 못한다고 판단해 금값이 순식간에 튀어 올라갔다. 링컨은 곧 법안을 폐지했다. 투기 세력에 무기력하게 패한 것이다.

앞서 말한 자체화폐의 대량발행은 북부군과 남부군 진영 모두에 인플레이션을 불러왔다. 하지만 그 차이는 극심했다. 이는 북부군의 채권 왕 제이 쿡덕분이었다.

 

제이 쿡은 남북전쟁 당시 채권을 누구나 살 수 있게 만든 장본인이다. 오하이오 주에서 국회의원의 아들로 태어난 쿡은 14세때 위폐 감시관으로 일했었다. 쿡은 남북전쟁 당시 채권가격을 액면 분할해서 소액투자자들도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만들었다애국심을 호소하며 각 가정을 방문해 채권을 대량으로 팔아 북부군 재정에 큰 도움을 줬다. 당시 유럽과 월가에서는 북부군 채권에 관심을 두지 않았기에 쿡의 판매방식은 나라를 구했다는 칭호를 얻을 만했다.

 

미국 목화밭 출처 위키피디아

 

남부는 목화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면화공채를 발행했다. 언제든지 사고 팔 수 있고 목화와 교환할 수 있는 채권이었던 면화공채는 유럽화폐로 발행되었다. 하지만 북부분과 비교했을 때 너무나도 초라한 판매량이었다. 결국 자체화폐 발행으로 경제가 황폐해졌다. 당시 북부군 물가 상승률은 80%였지만 남부군 측은 900%에 달하는 초인플레이션에 허덕였다.

 

하지만 중요한 건 전쟁보다 투기꾼들이었다. 남북전쟁은 주식시장을 투기꾼들이 판치는 난장판으로 만들었고 그들의 배를 불려줬다. 많은 전쟁영웅과, 쿡과 같은 애국자를 만들어 내기도 했지만 수많은 투기 부자들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이들은 훗날 미국 경제에 치명적인 큰 사건들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었다.

 

다음 경기침체의 주인공들이기도 하기에 설명은 다음에 하겠다.

 

186010월의 경기침체는 남북전쟁 탓이었고 제이 쿡의 채권 판매와 그린백 발행으로 인한 넘치는 유동성이 투기꾼들을 꼬이게 하고 버블장을 만들게 했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186010월부터 186110월까지가 경기침체 기간이며 총 8개월이다. 침체 기간 주가는 -7.5% 하락했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골드러시 절정이던 시기 주가에서 침체가 시작되던 시점까지 78개월간 주가는 -41% 하락했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골드러시 절정이던 시기 주가에서 침체가 종료되던 시점까지 84개월간 주가는 -45.7% 하락했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골드러시 절정이던 시기 주가에서 침체기간 최저가는 -48.5% 하락했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만약 침체 기간 최저점에서 만약 매수를 하고 최고점에서 팔 수 있었다면? 149%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바닥에서 매수해 천장에서 파는 건 판타지 소설에서나 나오는 용을 잡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다.

그럼 조금 더 가능성이 있는 확률로 접근해 보자.

 

https://hedonia.tistory.com/36

 

경기침체의 정의는 위 글을 확인해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경기침체 공식 선언은 7~15개월의 시차가 있다.

경기침체가 선언되는 시점은 침체가 이미 7~15개월 진행됐거나 이미 종료된 후라는 말이다.

그럼 침체시점에서 7개월 그리고 15개월후 주가는 어떻게 변했을까?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침체가 시작되고 7개월 후 주식을 매수했다면 전고점 도달까지 29개월이 걸렸고 135%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여러 번 말하겠지만 바닥에서 사서 천장에서 파는 건 어려운 일이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직접 만든 차트입니다. 퍼가실때 출처 남겨주세요

 

 

다음은 침체 후 15개월이 지난 뒤 매수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전 고점까지 115%의 상승을 보였다.  물론 바닥에서 매수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훌륭한 수익율이다.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서 차트를 직접 만들었습니다. 1918년까지는 cowles commission 지수를 참고해 만들었습니다.  차트는 월봉입니다. 이를 감안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