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 이상의 종목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놀라울 정도로 많은데 종목의 수가 많아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놀라운 것은 대부분의 투자자들의 경우 기업의 수익성을 제대로 진단하고 투자하는 종목은 보유 주식의 몇 퍼센트 밖에 안 된다는 점입니다. 이런 투자자들은 '한 바구니에 계란을 너무 많이 담은 건 아닐까?' 하는 두려움으로 종목의 수를 늘리면서 제대로 알지 못하는 종목들에 분산 투자합니다. 하지만 종목에 대한 충분한 지식 없이 이것저것 사들일수록 분산투자는 훨씬 더 위험 해집니다.
- 워렌 버핏-
워렌 버핏은 집중투자를 추구하기로 유명하다.
그의 투자 동반자인 찰리 멍거 역시 마찬가지 의견이다.
하지만 계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이 있다.
바구니가 떨어지면 모든 계란이 깨지기 때문이다.
사전에 알 수 없는 기업의 리스크는 많다.
그렇기 때문에 버핏과 멍거는 5개 종목 이상에 투자하되,
지나치게 많은 종목을 보유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많은 종목을 보유하지 말라는 이유는 모든 종목을 자세히 알 수 없고
기업의 변화 추적이 어렵기 때문이다.
함께 사는 아내가 40명이라고 생각해 보라. 그들 중 어느 누구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할 것이다.
-워렌 버핏-
매수하고자 하는 종목이 정말 많고, 그 기업들에 대해서 투자하는 이유가 확실하거나,
자신의 원칙과 철학이 일치하면 많은 종목을 보유해도 좋다.
하지만 대부분은 뭘 사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많은 종목을 가지고 있다.
전설의 투자자로 불리는 피터린치는 1400개가 넘는 종목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그가 그렇게 많은 종목을 보유한 이유가 있다.
첫 번째로 그의 포트폴리오는 개인 포트폴리오가 아닌, 회사 펀드의 포트폴리오다.
즉 많은 투자 전문가들이 관리하기 때문에 가능했다.
두 번째로 그가 운용한 마젤란 펀드도 처음에는 중소형주 위주의 적은 종목으로 거래했다.
하지만 곧 엄청난 투자금이 몰리게 됐고, 큰 금액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중대형주와, 많은 종목을 보유할 수밖에 없었다.
피터린치 역시 개인투자자는 다섯 종목 이상 보유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분산투자의 정의를 내려보자면 이렇다.
첫 번째는 많은 종목을 보유함으로써 변동성의 폭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함이다.
두 번째는 여러 산업이나 성격이 다른 투자처를 다르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기 위함이다.
결국 한 종목, 한 섹터로 투자가 몰려 있다면 그만큼 큰 변동성이 노출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종목에만 투자 중인데 해당 기업이 -30%가 된다면 이는 고스란히
나의 수익이 -30%가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여러 종목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 같은 변동성에서 보호된다.
보유종목의 수를 늘려서 변동성을 낮추는 방법은 보유 종목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변동석은 낮아진다. 그만큼 수익률도 낮아진다. 하지만 많은 종목을 보유하는 것은
부담이 되고, 시가총액 비율로 분산해야 낮은 변동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관리가 어렵다.
그래서 세상에 나온 상품이 존 보글이 만든 인덱스 펀드다.
두 번째로 주식에만 투자하고 있다면 어떨까?
아무리 모든 종목을 보유하는 인덱스 펀드라 할지라도
주식시장에 매번 찾아오는 조정장이나 하락장에는
큰 손실을 입게 된다.
시장이 하락할 때 주식만 보유 중이라면 큰 낭패다.
그래서 채권, 원자재, 예금, 부동산 등등 성격이 다른 투자처에
분산해서 투자하는 것이다.
이 역시 변동성엔 자유롭지만 초과수익률은 어렵다.
분산투자와 집중투자는 결국 성향의 차이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변동성은 과연 리스크인가? 하는 부분이다.
변동성은 말 그대로 변동성이다. 이를 리스크로 보느냐 아니냐는
투자기간에 달려있다.
아무리 안전한 인덱스 펀드라 할지라도
투자기간을 짧게 잡는다면 분명 변동성은 큰 리스크가 된다.
리스크와 수익 관계로 본다면 그만큼 단기간에 고수익을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투자기간을 길게 잡는다면 변동성은 리스크에 속하지 않는다.
적어도 변동성으로 인한 리스크는 사라지는 것이다.
집중투자와 분산투자의 선택은 본인의 몫이다.
성향에 맞게 투자하면 된다. 하지만 무의미하게 종목수만 늘린다고
분산투자가 되지 않는다. 이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다고 한 두종목에 몰빵 하는 것 역시 위험하다.
'투자 이야기 > 주식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의 목표(오늘 롱이야? 숏이야?) (2) | 2023.07.19 |
---|---|
영화 "작전" 에서 배우는 투자 (0) | 2023.07.15 |
시기와 질투(샤덴프로이데) (0) | 2023.07.10 |
손절매 (0) | 2023.07.10 |
두려움의 반대말 (0) | 2023.07.07 |
분노하지 말자 (0) | 2023.07.07 |
버블은 왜 생기는가? (0) | 2023.07.07 |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 좋은 주식과 나쁜 주식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