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투자 8단계

-4단계 원칙

 

 

주식 투자 8단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과정이 바로 원칙이다.

 

이 모든 과정은 사실 원칙을 위한 사전 준비단계 이거나, 실행 과정일 뿐이다.

 

원칙은 그 어떤 강조의 표현도 모자랄 만큼 투자에서 성공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누구나 워렌 버핏처럼 투자하고 싶다.

 

혹은 피터 린치, 윌리엄 오닐, 제시 리버모어, 존 보글, 등등 유명한 투자 거장들이 밟아온 길을 따라가고 싶다.

 

하지만 공부를 조금 해본 사람들은 한 가지 의문에 빠진다.

 

투자로 성공했고, 지금도 남아있는 거장들의 조언을 들어보면 좀처럼 말이 맞지 않다.

 

버핏의 조언과 피터 린치의 조언이 어긋난다.

 

기본적 분석이 맞는지, 기술적 분석이 맞는지 헷갈린다.

 

누군가는 대형 우량주 투자를 말하고, 또 누군가는 소형 성장주를 말한다.   

 

누군가는 배당주의 우수성을, 누군가는 배당주의 단점을 이야기한다.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는 오랜 논쟁의 단골이다.

 

각자 성향에 맞는 투자방식이라고 여기기엔 괴리감이 크다.

 

그래서 투자에는 정답이 없다고 말하는 것 같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든 투자의 거장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이 있다.

 

투자의 거장에게만 해당되지 않는다.

 

큰 성공을 이룬 사업가나 큰 자산을 이룬 자산가에게도 공통점이 보인다.

 

바로 자신의 원칙을 철저하게 지킨다는 점이다.

 

성공방식에는 저마다의 이유가 있지만 그들의 공통점은 자신의 원칙을 지킨다는 것이다.

 

투자시장에서 정형화된 답을 찾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보물섬을 찾아다니는 것과 같다.

 

투자시장은 하나의 유기체와 같아서 정형화된 답이 존재할 수 없다.

 

그럼에도 지속적으로 성공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원칙을 지키기 때문이다.

 

워렌 버핏이라고 100번 투자해서 모두 성공할 수 없다.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성공할 때도 실패할 때도 자신이 세운 원칙을 철저하게 지킨다.

 

자신의 투자 철학과 원칙을 지키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10번을 지키고 단 한 번 어겼을 때 파산할 수도 있다.

 

평생을 지켜야 하는 것이 마치 수도승의 삶과 같다.

 

그래서 원칙은 투자에 유일한 정답이다.

 

물론 잘못된 원칙을 가진 투자자도 있다.

 

주식투자 8단계는 올바른 원칙을 만들고 지키는 과정이다.

 

원칙을 지키는 투자자는 더 이상 투자시장에서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엉뚱한 욕심을 부리지도 않는다.

 

욕심과 두려움이 없는 투자자는 실패하지 않는다.

 

원칙을 지킨다는 것은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당신의 투자철학과 원칙은 무엇인가?

 

나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많이 벌기보다 잃지 않는 투자

 

2.     지속적인 성공이 가능한 투자

 

3.     통제할 수 있는 일에만 에너지를 투자하기.

 

4.     반드시 원칙을 지킬 것

 

수많은 유혹이 매일 찾아온다.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귀찮은 과정을 무시하고 쉬운 선택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마다 스스로 만든 원칙을 돌아본다.

 

단 한 번의 예외도 두지 않아야 한다.

 

죄책감에는 "한계치가 있다. 한계치를 넘으면 더 이상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원칙을 지키는데 단 한번의 예외도 없어야 한다.

 

 

좋은 행동에 대한 보상은 그걸 한 것 자체이다. -세네카-
반응형

'투자 이야기 > 주식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8단계 지속성  (0) 2023.10.25
7단계 인내  (0) 2023.10.16
6단계 용기  (0) 2023.08.17
5단계 종목 선정  (0) 2023.08.17
3단계 방향 설정하기  (0) 2023.08.16
2단계 목표 세우기  (0) 2023.08.15
1단계 나를 바로 알기  (0) 2023.08.14
확증 편향  (0) 2023.08.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