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쇼펜하우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뭔가를 얻기보다 뭔가를 제거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으라고.

 

돈을 벌어서 부자가 되는 길을 가기보다 가난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해라.

 

건강하겠다는 생각보다 아프지 않겠다는 생각을 해라.

 

행복을 제거하고 고통이 없는 삶을 택하라.

 

그리스의 견유학파는 향락을 배척했는데 그 이유는 향락에는 조금의 고통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그들은 향락이 포기하고 고통 없는 삶을 선택했다.

 

그들이 이런 선택을 하는 이유는 불행해지는 것은 쉬운 일이지만 행복해지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행복을 포기한다는 것은 비관주의나 세상을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허무주의로 보여질 수 있다.

 

쇼펜하우어는 삶이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행복을 추구하기 보다 고통스럽지 않은 쪽을 선택한 것이다.

 

삶을 대하는 이런 태도는 살면서 어떤 일을 만나거나 어떤 사람을 만나더라도 크게 휘둘리지 않는 삶을 살 수 있다.

 

기쁨을 기대하지 않으니 실망할 일도 휘둘릴 일도 없는 것이다.

 

사실 개인적으로 삶에 대한 철학으로 쇼펜하우어의 주장에 동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투자에 대입한다면 어떨까?

 

나는 그의 철학을 투자에 접목했고 그것이 나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 됐다.

 

행복하기 보다 고통을 제거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처럼 나는 큰 수익률 보다 잃지 않는 길을 택했다.

 

그리고 한 번에 큰돈을 버는 길보다 반복해서 지속적으로 벌 수 있는 방법을 택했다.

 

한번 원칙으로 정해졌다면 원칙에는 예외가 없어야 한다.

 

죄책감에는 한계치가 있다.

 

한 번도 어겨본 적 없는 원칙에는 스스로가 원칙을 어기지 못하게 감시하는 감시자가 된다.

 

하지만 한두 번 쉽게 원칙을 어기다 보면 죄책감은 한계치를 넘어서 더 이상 스스로 감시자가 되지 못한다.

 

한번 정해진 원칙을 꼭 지켜야 하는 이유다.

 

투자할 종목을 고를 때도 쇼펜하우어의 방식은 큰 도움이 된다.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때 매수해야 하는 종목을 남기는 것보다 매수하지 말아야 할 종목을 지우는 방식으로 스크리닝 한다.

 

물론 투자자의 성향이나 기질에 따라 투자 방식은 천차만별이다.

 

어느 것이 옳고 그른지 따져 묻기 어렵다.

 

투자 원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아는 것이고, 원칙을 그 어떤 예외 없이 지키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