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나스닥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 해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하지만 단순하게 차트를
들여다본다면 아무 시점에서나 매수해서 보유한다면 부자가 될 거라고 생각한다.
정답이지만 그 과정에 숨겨져 있는 고통의 시간들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지수가 2배가 오르는 동안 시장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아보자.
1938년 5월 ~ 1945년 4월
1938년 5월 ~ 1945년 4월 주가가 100% 오르는 7년동안 세번의 큰 위기가 찾아왔다.
첫 번째 위기
1937~1939년 경기침체 > 1929년 대공황이 어느정도 잠잠해지자 미국은 통화량을 줄였다.
그 탓에 대공황 후폭풍이 찾아왔고 경기침체로 이어졌다.유럽에서 전운이 돌자 주가는 또다시 폭락했다.
1939년 4월 경기침체로 고점대비 -27.35% 가 하락 했다.
두 번째 위기
나치가 프랑스를 침공했다. 1차세계 대전의 악몽이 떠올라 주식 시장은 폭락했다.
1940년 나치의 프랑스 침공으로 고점대비 -33.84% 가 하락했다.
세 번째 위기
진주만 공습이후 미국은 1941년 12월 8일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를 하고 공식적으로 참전했다.
1942년 미국의 2차대전 참전으로 고점대비 -32.46% 가 하락했다.
1942년 4월 이후 1945년 4월까지 작은 조정을 제외하고 꾸준한 상승을 보이며 지수는 두배가 됐다.
나스닥은 1971년 2월 8일 처음 설립 되었습니다. 만들어진 자료는
나스닥 공식 설립 이전 장외시장 거래 지수로 만들어 졌습니다.
'투자 이야기 > 주식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 경제학 2. 기회 비용과 매몰 비용 (1) | 2023.02.05 |
---|---|
행동 경제학 1. 어림짐작 (2) | 2023.02.03 |
수에즈 운하 분쟁과 경기 침체 (0) | 2023.02.03 |
한국전쟁과 미국의 경기 침체 (0) | 2023.02.02 |
파월과 폴 볼커, 그리고 아서 번즈 (0) | 2023.01.12 |
19세기 장기불황의 두 번째 1882년 경기침체 (0) | 2023.01.06 |
19세기 장기불황 첫 번째1873년 경기침체 (1) | 2023.01.01 |
1869년 제이 굴드의 검은 금요일 (0) | 2022.12.28 |